책소개
지식을만드는지식 ‘초판본 한국시문학선집’은 점점 사라져 가는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을 엮은이로 추천했다. 엮은이는 직접 작품을 선정하고 원전을 찾아냈으며 해설과 주석을 덧붙였다.
각 작품들은 초판본을 수정 없이 그대로 타이핑해서 실었다. 초판본을 구하지 못한 작품은 원전에 가장 근접한 것을 사용했다. 저본에 실린 표기를 그대로 살렸고, 오기가 분명한 경우만 바로잡았다. 단, 띄어쓰기는 읽기 편하게 현대의 표기법에 맞춰 고쳤다.
미당 서정주는 한국의 전통문화와 민족 정서를 수려한 모국어에 담아낸 언어의 연금술사다. 한국의 현대시사와 궤적을 같이하는 60여 년의 긴 시력은 물론 그가 남긴 텍스트의 미학적 성취도와 양적인 규모는 한국 문학의 자기 정체성에 대한 줄기찬 탐색의 연대기로서 문학사의 한 시대를 장식할 만하다. 미당의 시 세계를 많은 연구자들은 대략 세 시기로 나누어 조망하고 있다. 초기에 속하는 시집은 ≪화사집≫(1941)과 ≪귀촉도≫(1946)이며, 중기에 속하는 시집은 ≪신라초≫(1960), ≪동천≫(1968)이고, 후기에 속하는 시집은 ≪질마재 신화≫(1975), ≪떠돌이의 시≫(1976) 등이다.
초기 시에서 서구적인 감수성으로 인간의 원죄 의식과 원초적인 본능, 악마적인 육성의 세계를 노래했다면, 중기 시에서는 한국 문학의 전통과 고전적 가치를 인식하며 불교적 상상력과 신라의 정신세계를 탐색하고 있다. 해방 이후 그는 초기의 상징적이고 악마적인 시풍에서 벗어나 동양적인 사상으로 접근해 심화된 시적 정서와 민족적 정서를 세련된 시풍으로 표현해 냈다. 특히 불교 사상과 신라의 설화적 요소를 기반으로, 시인 스스로가 ‘영원주의’라 일컫는 문학 정서를 부활시켰다. “초기엔 대지적 존재로서 인간의 조건과 본능의 몸부림을 보들레르적 탐미주의로 승화시키려 하였으나 이의 한계를 깨닫고 곧 동양의 영원주의로 회귀한다. 중기 이후에 그가 몰두했던 신라 정신과 신화 혹은 설화적 세계는 바로 그의 이와 같은 정신세계를 보여 주는 것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후기 시는 초기 시와 중기 시의 세계를 더욱 심화하고 승화시켜 한국의 토속 세계와 신화적 상상력으로 나아가는 뚜렷한 변화의 궤적을 보여 주고 있다. 두 번에 걸친 세계 여행 경험과 자전적 체험을 담아내거나, 역사와 민속, 자연 풍물 등에 대한 천착을 통해 시 세계를 확장해 온 것도 그의 후기 시의 중요한 특징이다.
오세영은 ≪질마재 신화≫의 시 세계를 “성스러운 세계로부터 속된 세계로”의 ‘하강’이라 표현하고 있다. “현실적, 일상적, 세속적인 세계”에 대한 천착을 통해 정감 어린 삶의 모습들과 인생 순리에 대한 체득, 운명에 대한 달관의 경지를 보여 주고 있는 서정주의 후기 시는, 서정시의 기율적 완성이라 할 만한 원숙한 표현의 경지를 보여 준다. 비록 그의 문학 노선이나 친일 행적과 관련해 역사의식과 현실 감각의 결여를 비판하는 논의들이 많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미당이 없는 한국 현대시는 상상조차 할 수 없다. 미당의 정치적 행적이 얼마나 잘못되었고, 우리 민족사에 누가 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미당의 시가 그런 이유로 매도당하는 것은 엄청난 민족 문화의 손실이다.”
미당은 일찍이 <시의 표현과 그 기술-감각과 정서와 표현의 단계>에서 시의 단계를 감각적인 시와 정서적인 시, 그리고 예지의 시로 구분하는데, ‘감각’을 극복해야 할 단계로 보고, ‘예지의 시’를 가장 고차원적인 단계로 설정한 바 있다. 신기로운 언어적 기술과 감각의 추구에 몰입해 온 현대시를 넘어, 한국 전통과 풍속으로부터 자연과 우주, 인류의 삶에 대한 근원적 탐색까지 아우르고 있는 그의 작품들은 한국 현대시의 정수이자 예지의 시로 일컬어지기에 손색이 없다.
200자평
어떤 이는 그를 한국의 보들레르라고 평한다. 다른 이는 그를 친일파이자 독재정권의 시녀로 평한다. 역사에서 그의 친일 행적을 지울 수 없는 것처럼, 한국의 현대시사에서 그가 이뤄 낸 성취는 결코 부정할 수 없다. 언어의 연금술사 서정주, 그가 남긴 시를 날것 그대로 만나 본다.
지은이
서정주(徐廷株, 1915∼2000)는 1915년 5월 18일 전북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 578에서 서광한의 장남으로 출생, 2000년 12월 24일 서울삼성병원에서 반세기가 넘는 시력을 마감하고 타계했다. 그는 줄포공립보통학교와 중앙고등보통학교에서 수학했으며, 1930년 11월 광주학생운동 주모자 4인 중의 하나로 퇴학당해 1931년 고창고등학교에 편입학했으나 권고 자퇴, 1935년 중앙불교전문학교에 입학했다. 1938년 방옥숙과 결혼해 장남 승해와 상경, 1941년 동대문여학교 교사 부임을 시작으로 부산 동아대학교 전임 강사, 전주 전시연합대학 강사 겸 전주고등학교 교사를 역임하고 조선대학교와 서라벌예술대학 등에서 문학을 강의했다.
서정주는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시 <벽>이 당선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같은 해에 김광균, 김달진, 김동리 등과 동인지 ≪시인부락≫을 주재하면서 본격적인 시작 활동을 시작했다. 처녀시집 ≪화사집≫(남만서고, 1941)을 발간, 악마적이며 원색적인 시풍으로 문단에 큰 화제를 불러일으키며 ‘한국의 보들레르’로 일컬어지기도 했다.
해방 이후 발간된 제2시집 ≪귀촉도≫(선문사, 1946)부터 그의 시 세계는 동양적인 정서와 민족적 정조를 담아낸 세련된 시풍을 내보이기 시작한다. 제4시집 ≪신라초≫(정음사, 1960) 이후 불교 사상을 기조로 한 신라 설화를 제재로 시인 스스로 ‘영원주의’라 일컫는 동양적, 불교적 정서를 부활시켰으며, 유치환과 더불어 ‘생명파’ 시인으로 불린다. 그는 ≪삼국유사≫ 같은 고전과 불교적 사유를 문학적 자양으로 삼아 한국적인 전통을 시 세계에 담아냈다. 이후 더욱 진경을 보인 작품 50여 편을 모아 제5시집 ≪동천≫(민중서관, 1968)을 발간해 신라 정신과 불교적 세계를 한층 더 심화한다.
해방 이후 줄곧 “고전적 지혜의 회복”을 역설해 온 서정주는 동양 문예 전통과 유기체적 관계를 이루는 한국 문학의 전통을 설계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탄생한 제6시집 ≪질마재 신화≫(일지사, 1975)나 제7시집 ≪떠돌이의 시≫(민음사, 1976)는 모국어와 한국 혼의 깊이를 보여 준 원숙한 시집으로 평가되고 있다.
1980년대 서정주는 국내외에서 활발한 저작 활동을 펼쳐, 세계 일주 여행 경험을 담은 세계 기행시집 ≪서(西)으로 가는 달처럼…≫(문학사상사, 1980)과 세계 여행기 ≪떠돌며 머물며 무엇을 보려느뇨?≫ 2권(동화출판공사, 1980), 한국 역사 시집 제9시집 ≪학이 울고 간 날들의 시≫(소설문학사, 1982) 등을 발간한다.
고희를 훌쩍 넘긴 1990년대에 접어들어서도 제13시집 ≪산시(山詩)≫(민음사, 1991), ≪서정주 세계 민화집≫ 전5권(민음사, 1991), ≪미당 서정주 시전집≫ 전2권(민음사, 1991), 제14시집 ≪늙은 떠돌이의 시≫(민음사, 1993), 제15시집 ≪80 소년 떠돌이의 시≫(시와 시학사, 1997)를 출간해 한국 시의 깊이와 폭을 대변하는 시인으로서 위상을 확고히 했다. ≪화사집≫에서 ≪80 소년 떠돌이의 시≫에 이르는 15권의 창작 시집은 한국 문학뿐 아니라 세계 문학에도 확고하게 기념될 최고의 수확이라 할 만하다.
엮은이
허혜정은 시인이자 문학평론가로 동국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7년 ≪한국문학≫ 신인작품상으로 시단에 등단했으며 1995년 ≪현대시≫ 평론에 당선해 평론가로 등단했다. 1997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서 평론상을 수상했고 2010년에는 젊은 평론가상을 수상했다.
현재 숭실사이버대학교 방송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있으며, 계간 ≪시인수첩≫ ≪국학자료원≫ 편집위원이다.
≪비 속에도 나비가 오나≫, ≪적들을 위한 서정시≫, ≪에로틱 아우라≫, ≪현대시론≫1, 2권, ≪처용가와 현대의 문화산업≫, ≪혁신과 근원의 자리≫, ≪멀티미디어 시대의 시창작≫, ≪시를 써야 시가 되느니라≫ 외 다수의 저술이 있다.
차례
自畵像
花蛇
문둥이
대낮
麥夏
입마춤
봄
壁
葉書
斷片
부흥이
雄鷄(上)
雄鷄(下)
바다
復活
牽牛의 노래
石窟庵 觀世音의 노래
歸蜀途
木花
푸르른 날
고향에 살자
밤이 깊으면
逆旅
無等을 보며
菊花 옆에서
新綠
鞦韆詞
春香遺文
꽃 피는 것 기특해라
密語
善德女王의 말씀
꽃밭의 獨白
婆蘇 두 번째의 편지 斷片
百結歌
老人 獻花歌
古調 貳
숙영이의 나비
다섯 살 때
無題
韓國星史略
近郊의 泥濘 속에서
冬天
내 永遠은
내 그대를 사랑하는 마음은
마른 여울목
재채기
水路夫人의 얼굴
내가 돌이 되면
마흔다섯
내가 또 유랑해 가게 하는 것은
칙꽃 위에 버꾸기 울 때
無題
無題
新婦
上歌手의 소리
그 애가 물동이의 물을 한 방울도 안 엎지르고 걸어왔을 때
박꽃 時間
말 피
초파일의 버선코
시월이라 상달 되니
북녘 곰, 남녘 곰
韓國 鍾소리
故鄕 蘭草
秋夕
새해의 祈願
우리 故鄕 중의 故鄕이여
인사
堂山나무 밑 女子들
단골 암무당의 밥과 얼굴
雨中有題
‘거시기’의 노래
김치 타령
朴龍來
케네디 記念館의 黑人들을 보고
멕시코에 와서
太陽과 處女 心臟
잉카 文明 시절 女子들이 손가락 끝마다 끼었던 純金 골무들을 보고
쌈바춤에 말려서
술 나와라 뚝닥, 술나무 수풀
보들레에르 墓에서
라인 江가에서
파르테논 神殿 앞에서
나자렛 마을의 인삿말
劫의 때
사내자식 길들이기 1
茁浦 3
광주학생사건
제2차 년도의 광주학생사건
詩人部落 일파 사이에서
종천순일파?
일정 치하의 막바지 때
해방 바람에
4·19 바람
5·16 군사 혁명과 나
환갑의 떠돌이 길에서
한국의 山 詩
日本 山들의 意味
蒙古 山의 占쟁이 새
히말라야의 하느님과 나
印度의 名山 난다데비에서 어느 仙女님이 속삭이신 이야기
한국 사람 귀에 들리는 이란의 山 이름들
新아라비안나이트 序
포르투갈의 ‘에스트렐라’ 山의 仙女께서 나오시어 말씀하기를
아일랜드의 훤칠한 색시들의 山
유고의 山 색시 ‘비라’에 대해서
濠洲 南오스트레일리아 州의 우우드로프 山에서 한 初期 移民의 넋이 말씀하기를
하와이 州, 오아후 섬의 푸우카레나 山의 山神女의 詩
이집트 砂漠의 다섯 개의 山에서 나는 소리
에티오피아의 主峯 라스다센테라라 山이 말씀하기를
내가 千字책을 다 배웠을 때
詩人 咸亨洙 小傳
에짚트의 어떤 저승의 門 앞
老妻의 病床 옆에서
페테르부르크의 우리 된장국
범부채꽃
일곱 살 때 할머니에게서 드른 흰 암여우 이얘기
늙은 사내의 詩
나는 아침마다 이 세계의 山 1628개의 이름들을 불러서 왼다
도로아미타불의 내 햇살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책속으로
●自畵像
애비는 종이었다. 밤이 기퍼도 오지 않었다.
파뿌리같이 늙은 할머니와 대추꽃이 한 주 서 있을 뿐이었다.
어매는 달을 두고 풋살구가 꼭 하나만 먹고 싶다 하였으나… 흙으로 바람벽 한 호롱불 밑에 손톱이 깜한 에미의 아들.
甲午年이라든가 바다에 나가서는 도라오지 않는다 하는 外할아버지의 숯 많은 머리털과 그 크다란 눈이 나는 닮었다 한다.
스믈세 햇 동안 나를 키운 건 八 割이 바람이다.
세상은 가도 가도 부끄럽기만 하드라
어떤 이는 내 눈에서 罪人을 읽고 가고
어떤 이는 내 입에서 天痴를 읽고 가나
나는 아무것도 뉘우치진 않을란다.
찰란히 티워 오는 어느 아침에도
이마 우에 언친 詩의 이슬에는
멫 방울의 피가 언제나 서껴 있어
볓이거나 그늘이거나 혓바닥 느러트린
병든 숫개만양 헐덕어리며 나는 왔다.
●冬天
내 마음속 우리 님의 고은 눈섭을
즈문 밤의 꿈으로 맑게 씻어서
하늘에다 옴기어 심어 놨더니
동지 섣달 나르는 매서운 새가
그걸 알고 시늉하며 비끼어 가네
●종천순일파?
1943년 가을부터 약 반 해쯤
나는 선배 문인 崔載瑞 씨의 요청으로
그의 출판사 人文社에 들어가
일본 말 시 잡지 ≪國民詩人≫의 편집 일을 맡았으나,
근년에 민중문학가 일부에서 나를 지탄하고 있는 것 같은
그런 비양심이나 무지조를 내가 느끼면서 그랬던 건 아니고
이게 내게도 불가피한 길이라고 판단되어서 그랬을 뿐이다.
일본은 이미 벌써 만주를 송두리째 그들의 손아귀에 넣어
만주제국이라는 그들의 괴뢰정권을 세운 지 오래였고,
중국의 중화민국 정부도 먼 서쪽 변방으로 쫓아내고,
汪兆銘이를 시켜 南京에 더 큰 괴뢰정부를 세웠으며,
싱가포르를 함락하고,
필리핀을 입수하고,
동남아 전체를 먹어 들어가며
‘대동아 공영권을 세우자’고 우리 겨레에게도
강요하고 있어
그들의 이 무렵의 그 욱일승천지세 밑에서
나는 그 가까운 1945년 8월의 그들의 패망은
상상도 못했고
다만 그들의 100년 200년의 장기 지배만이
우리가 오래 두고 당할 운명이라고만 생각했던 것이니,
처자를 거느리고 또 자손의 살아남을 길도 내다보아야 하는
나 같은 사람의 인문사 입사는
그저 당연한 것으로만 이때엔 판단되었을 뿐이다.
또 달리 호구 연명할 길도 아무것도 없었다.
그러나 이 무렵의 나를
‘친일파’라고 부르는 데에는 이의가 있다.
‘친하다’는 것은
사타구니와 사타구니가 서로 친하듯 하는
뭐 그런 것도 있어야만 할 것인데
내게는 그런 것은 전혀 없었으니 말씀이다.
‘附日派’란 말도 있긴 하지만
거기에도 나는 해당되지 않는 걸로 안다.
일본에 바짝 다붙어 사는 걸로 이익을 노리자면
끈적끈적 잘 다붙는 무얼 가졌어야 했을 것인데
나는 내가 해 준 일이 싼 월급을 받은 외에
그런 끈끈한 걸로 다붙어 보려고 한 일은
단 한 번도 없었기 때문이다.
나는 이때 그저 다만,
좀 구식의 표현을 하자면-
‘이것은 하늘이 이 겨레에게 주는 팔자다’ 하는 것을
어떻게 해서라도 익히며 살아가려 했던 것이니
여기 적당한 말이려면
‘從天順日派’ 같은 것이 괜찮을 듯하다.
이때에 일본식으로 창씨개명까지 하지 않을 수 없었던
우리 다수 동포 속의 또 다수는
아마도 나와 의견이 같으실 듯하다.
몽고 침략을 당하며 살던
우리 고려인들의 이상이 어땠었는지는
딱은 모르지만,
나는 이조 사람들이 그들의 백자에다 하늘을 담아 배우듯이
하늘의 그 무한 포용을 배우고 살려 했을 뿐이다.
지상이 풍겨 올리는 온갖 美醜를
하늘이 ‘괜찮다’고 다 받아들이듯
그렇게 체념하고 살기로 작정하고
일본총독부 지시대로의 글도 좀 썼고,
일본군 사령부의 군사훈련 때엔
일본 군복으로 싸악 갈아입고
종군기자로 끼어 따라다니기도 했던 것이다.
서울 용산 주둔의 일본군 사단이
김제 만경 평야 일대에서 전쟁 연습을 하고 있었는데
이때 어느 휴식 시간의 어느 귀퉁이 풀밭에서던가
같이 종군해 있던 최재서 씨가
문득 내 목을 끌어안고 딩굴며 울던 일은
지금도 눈에 역력히 보이는 것 같다.
도스토예프스키의 무슨 소설 속의 심리 이얘기를 하고 있던 판이었는데….
그러나 나는 눈물도 나지 않았었다.
●범부채꽃
범이
할랑할랑
부채질이나 하고 살듯이
그렇게나 살아 보자고
할머니가
장독대에 심어 놓은
범부채꽃은
6월이면 피었었지요.
그것은
괜찮은 思想이었지요.